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데일리뉴스
- 넷플릭스주단위
- 스타트업
- 24년ai
- 미디어
- ai연구논문
- 바이오필릭
- AI
- 망중립성
- 망사용료
- 넷플릭스요금
- aitrend
- 애플미디어
- 넷플릭스모바일
- ai보고서
- 넷플릭스
- 24년ai연구동향
- 넷플릭스전략
- 23년ai연구동향
- 매직리프원
- 아마존
- 우리아이경제교육
- netflixplan
- netflix
- 오리지널콘텐츠
- 5G미국
- ai트렌드
- 애플비디오
- 페이스북
- 4만불
- Today
- Total
목록IT news (21)
TREND_LOG

가입자 확대에 거침없는 넷플릭스 글로벌 가입자 순증 정체를 돌파하기 위함인지, 혹은 애플 / 디즈니의 경쟁 선포에 따른 위기감 때문인지, 넷플릭스의 가입자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전략 공세가 거침이 없다. 지난 3월 인도를 시작으로 저가형 요금제를 선보인데 이어, 한국에서도 주 단위 / 모바일 전용 요금제 출시를 예고했다. 유료방송이 높은 미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월정액 요금을 상향하여 오리지널 콘텐츠에 투자할 재원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유료방송 가격이 낮은 동남아 및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요금제를 다양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자를 늘리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글로벌 플레이어라서 가능한 투트랙 전략이다. 주 단위 요금제, 괜찮을까? 기본 월정액 방식인 넷플릭스는 이미 인도, 필리핀 등에서 주 단..

바야흐로 5G 시대가 열렸다. 지난 `19년 4월 5일 세계 최초 B2C 상용화 예정이었으나, 미국 Verizon과의 헤프닝으로 4월 3일 1호 개통자를 내고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을 지켜낸 한국, 열흘이 지난 현재 언론에서는 요금제, 속도 측정, 서비스 등을 놓고 다양한 분석과 전망을 내 놓고 있다. 5G 요금제 (5G라서 5.5만원? 아재개그인가...) LTE 대비 높아진 가격 라인업이 5G가 초기 단계임을 잘 보여주는 듯 하다. 심지어 정부와 언론플레이 등 우여곡절 끝내 최종 결정된 요금제의 최저 라인업은 3사 모두 5.5만원이다. 5G라서.... ?? (설마) 이미 LTE 시대에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경쟁이 있었기에 5G에는 뭔가 다른게 나올게 없을 것 같았는데, KT에서는 진정 속도제한 ..

넷플릭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 '18년 가입자수가 44만에서 126만으로 약 3배 성장한 이후, `19년 2월까지 또 다시 2배 성장한 240만 가입자를 유치했다. 누가 한국에서 넷플릭스가 어려울 것이라고 했는가? 인당 평균 사용 시간도 `18년 2월 120분 수준에서 1년만에 300분을 넘어서는 정도로 성장했다. 과거 넷플릭스는 스스로의 경쟁자를 다른 미디어 사업자뿐만 아니라 게임, 야외활동 등으로 규정한 적이 있다. 결국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주어진 '시간' 중 얼마를 점유하느냐가 넷플릭스의 M/S 목표라고 천명했던 것. 확실히 콘텐츠의 힘이다. 올해 넷플릭스의 폭풍성장은 '킹덤'의 영향이 크다. 회당 15~20억원을 들여 제작하여 독점 공개한 한국판 좀비물 '킹덤'은 전세계 190여개국에 ..

Steve Jobs was trying to revolutionize TV almost a decade ago - now we'll finally find out Apple's plan https://www.cnbc.com/2019/03/24/apple-march-25-streaming-tv-event-what-to-expect.html Steve Jobs once tried to revolutionize TV — today we'll find out Apple's plan Apple is expected to launch a new streaming TV service and news subscription app at a press event on March 25. www.cnbc.com 애플이 드디..
애플의 스트리밍 서비스 출시 관련 발표가 10시간도 채 남지 않았다. https://www.mk.co.kr/news/view/world/2019/03/179664/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9.99달러에 애플의 오리지널 콘텐츠와 더불어 HBO 등을 구독할 수 있는 애플판 넷플릭스(?)가 등장할 것이고, 동시에 WSJ 등을 포함한 200여개 잡지 서비스도 애플뉴스도 9.99달러에 제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누구나 쉽게 예상할 수 있는 공격포인트는... 현재 미국 스트리밍 미디어 시장의 점유율이 60%가 넘는 넷플릭스의 콘텐츠가 포함되지 않았고, 심지어 디즈니에서 시작하는 Disney+ 역시 자사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것으로 예견되는 가운데.. 과연 애플만의 강점이 뭔가 나올 수 있을 것인가? 이다..
지난 3/18일. 넷플릭스의 LA 헐리우드 오피스에서 전 세계 기자를 초청하여 콘텐츠 전략을 발표했다. 출처 : https://www.cnbc.com/2019/03/19/netflix-ceo-breaks-with-big-tech-saying-its-actually-a-media-company.html 주요 내용은. 1. 넷플릭스는 기술회사가 아닌 미디어 회사다. (기술을 가진 미디어 회사) 2.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투자는 지속할 것이다. 3. 기술 기반의 다양한 시도를 할 것이다. 4. 광고는 하지 않겠다 5. 타 미디어 회사와의 경쟁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 이번 발표는 기존 넷플릭스의 전략을 보다 확고하게 밀어 붙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디즈니, 애플 등의 미디어 서비스 진출/강화 등의 경쟁 환경..